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본간호술기1 배출관장 목적,수행절차,금기사항

by 플로우리미 2024. 3. 10.

기본간호술기/배출관장 목적, 수행절차, 금기사항

 

배출관장 목적

- 변비 또는 분변매복으로 인해 장에 머물고 있는 변을 배출하기 위함이다.

- 수술이나 검사를 위해 장을 깨끗이 비우기 위함이다.

- 수술이나 분만 시 배변으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 체온을 하강시키기 위함이다.

- 진단검사 전에 마시거나 주입한 용액을 검사 후에 제거하기 위함이다.

- 배변 훈련 시 장 운동을 규칙적으로 돕기 위함이다.

 

배출관장 수행절차

1) 물과 비누를 이용한 손 씻기로 손위생을 실시한다.(최소 20초)

2)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관장액(글리세린), 미온수(37.7~40.5), 50cc 주사기 또는 관장용 주사기, 카테터(10fr) 또는 직장튜브(14~20fr), 홑이불, 방수포, 반홑이불, 윤활제, 곡반, 일회용 장갑, 거즈, 휴지, 손소독제, 검온계

3) 일회용 장갑을 착용한 후, 주사기 내관을 빼고 주사기 앞부분을 손으로 막은 상태에서 글리세린과 미온수(37.7~40.5/ 검온계로 확인) 물을 1:1로 부어 관장액을 준비한다.

4) 주사기 내관을 꽂은 다음 카테터나 직장 튜브의 끝 부분을 개봉하여 주사기를 연결하고 공기를 빼준다.

5) 카테터나 직장 튜브 끝 10-15cm 부위에 윤활제를 바른 후 장갑을 벗는다.(직장에 삽입시는 5~10cm)

6) 손소독제를 이용하여 손위생을 실시한다.

7) 대상자의 이름, 등록번호 등을 개방형 질문으로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팔찌와 대조하여 대상자를 확인한다.

8) 대상자에게 관장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9) 커튼이나 스크린을 쳐서 대상자의 사생활을 보호해 준다.

10) 홑이불을 윗 침구 위에 펴서 잡게 하고 윗 침구를 끌어내려 침상발치에 접어놓고 홑이불로 덮어준다.

11) 대상자에게 Sim's position 또는 좌측 위를 취하게 한다.

12) 대상자 둔부 밑에 방수포(고무포)와 반홑이불을 깐다.

13) 일회용 장갑을 착용한다.

14) 대상자의 둔부를 노출시키고 항문이 보이도록 사이를 벌린다.

15) 대상자에게 입으로 숨을 천천히 내쉬면서 긴장을 풀도록 유도한다.

16) 카테터나 직장튜브 끝을 대상자의 배꼽을 향하도록 해서 5-10cm 정도 삽입한다.

17) 카테터나 직장튜브 위치를 고정하고 관장액을 천천히 주입한다.

18) 관장액이 주입되는 동안 불편함이 있을 수 있음을 설명하고 배에 힘을 주지 말고 입을 벌려 숨을 쉬게 한다.

19) 관장액을 전부 주입한 후 휴지나 거즈로 항문을 막으면서 카테터나 직장튜브를 항문에서 빼내어 휴지에 싸서 곡반에 놓는다.(주입되는 동안 복부경련이나 배변감을 호소하면 주입을 중단했다가 증상이 가라앉은 후에 다시 주입한다.)

20) 일회용 장갑을 벗는다.

21) 대상자에게 팽만감을 느끼는 것은 정상임을 설명한다.

22) 대상자에게 10-15분 대변을 참거나 혹은 침대에서 누워서 참을 수 있을 만큼 대변을 참은 후 화장실에 가야 함을 설명한다.

23) 대상자에게 대변을 본 후 그 결과를 알려야 함을 설명한다.

24) 적어도 한 시간 동안 둔부 밑에 방수포(고무포)와 반홑이불을 그대로 둔다.

25) 대상자를 편안하게 해 주고 물품을 정도 한다.

26) 물과 비누를 이용한 손 씻기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27) melena, Hematochezia 등 비정상적인 소견이 보일 경우 담당의사에게 알린 후  수행결과를 대상자의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관장의 종류, 관장용액 및 주입한 양, 관장절차에 대한 대상자의 이상반응, 관장결과(대변양, 대변양상))

 

배출관장 금기사항

- 마비성 장폐색

- 결장폐색

- 관장액이 흡수되어 순환과잉, 수분중독, 점막손상, 괴사, 고칼륨증을 유발할 경우

- 과량 용액으로 장천공이나 출혈 가능성이 있는 경우

- 위장수술 또는 부인과 수술 직후

- 관장액으로 대장염이나 궤양성 장염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 두 개 내압 상승 환자

- 급성 심근경색 환자

- 충수돌기염

 

 

 

 

 

 

 

 

출처: 대한간호협회/간호인력취업교육센터 책자 기준으로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