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환자 안전사고 유형
1) 환자확인
수술 동의서 작성 시 해당 수술에 직접 참여하는 의사가 직접 수술부 위를 표시하여 다른 사람이 수술을 받거나 다른 부위에 수술을 받게 되는 오류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다.
환자와의 의사소통, 신원확인 팔찌, 수술부위 표시, 환자기록지의 확인과 외과 팀원들 간의 의사소통이 준수되지 않을 경우 발생한다. JCAHO(2004)의 유니버설 프로토콜에서 제시 한 환자확인 5가지 요소 인 '정확한 수술환자, 정확한 수술부위, 정확한 수술과정, 정확한 수술 체위, 정확한 삽입물과 특수물품의 확인'으로 구성한다.
2) 수혈
(1) 입고 전 오류
혈액원에서 헌혈받은 혈액이 혈액은행에 입고되기 전에 발생하는 오류로 혈 액형이나 항원형 검사의 오류, 혈청학적 검사의 오류, 부적절한 혈액성분의 공급, 잘못된 혈액성분의 채집 등을 포함한다.
(2) 처방 관련 오류
부적절한 혈액 성분 처방이나 불필요한 처방을 포함하여 의사의 처방과정과 관련되어 발생하는 오류로 부적절한 혈액 성분의 처방, 수혈요청서 작성 오류 등을 포함한다.
(3) 채혈 관련 오류
혈액은행 검사를 목적으로 환자 혈액을 채혈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로 다른 환자의 검체 채취, 검체에 대한 세부기록 오류 등을 포함한다.
(4) 수혈 전 검사 관련 오류
혈액은행 검사실에서 수혈 전 검사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로 교차시험오류, 혈액형검사 오류, 항체선별검사 오류, 항체동정검사 오류, 혈청검사 오류, 과거기록 조회의 오류, 사무적인 오류 등을 포함한다. (5) 혈액은행 업무 중 오류
혈액은행에서 처방확인, 출고혈액의 선택, 보관, 출고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로 부적절한 혈액 성분의 선택 및 불출, 방사선조사 미시행, 냉장 보관상 문제 등을 포함한다.
(6) 출고 후 오류
혈액은행에서 혈액이 출고된 후 환자에게 수혈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로 일반적인 혈액주입 과정에서의 오류, 환자 병상 옆 확인과정 중 오 류, 혈액주입과정 수행지침을 어김 등을 포함한다.
3) 계수
계수가 부정확하여 가장 많이 일어날 수 있는 것으로 체내에 거즈 및 기타 수술 도구의 일부를 남기고 수술을 종료하는 경우가 주된 원인이다. 국내외의 사건보고서에 의하면 남겨진 이물질의 종류 중 거즈가 가장 빈번하며 부위는 주로 흉강, 복강, 골반간 등으로 보고 되고 있다.
4) 투약
수술실은 병원의 일반적인 투약원칙 외에도 무균적 조제 및 관리 등 이 필요하며 일반적인 투약환경과는
다른 환경 하에서 환자를 확인해야 하는 등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수술실은 여러 의료진이 항상 바쁘고 분주하게 업무를 수행하는 곳이므로 투약과 관련된 실수가 일어날 가능성이 많아 이에 대한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투약오류 유발요인으로는
(1) 순회간호사 조제한 약물을 소독 간호사에게 주고받는 과정
(2) 환자의 상황이 긴급한 투약을 요하는 상황
(3) 주의가 산만하고 바쁜 환경
(4) 수술마스크를 쓰고 구두처방을 내릴 때, 불명확한 발음과 음성이 투약 처방에 혼동을 초래할 수 있음
(5) 모양이나 이름이 비슷한 약이 근접한 곳에 놓여 있는 경우
(6) 여러 과가 동시에 수술하거나 수술이 길어져 인수인계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해당된다.
수술환자 안전사고 예방활동
1) 환자확인
1. 수술실 입구에 환자가 도착하면 개방형 질문으로 환자에게 자신의 이름과 수술 부위를 말하게 한다.
2. 이름, 등록번호, 팔찌(ID band) 및 차트, 수술 전 간호처치표에 수술부위 표식 여부 등으로 환자를 확인한다.
3. 수술명, 방 번호, 수술 예정시간을 차트, 수술(마취) 동의서와 수술 스케줄 표를 비교하고, 환자에게 예정된 수술 부위를 구두로 확인하고 기록한다.
4. 의치, 시계, 현금 등 개인 물품을 가져온 경우는 보호자에게 정확히 인수인계한다.
5. 수술방에 들어온 환자의 이름을 호명하여 환자, 집도과 의사, 마취과 의사, 간호사가 동시에 환자의 이름, 수술명, 수술 부위를 확인한 후 스케줄, 차트, 환자 팔찌를 대조하여 재확인한다.
2) 수혈
1. 수혈지시사항을 확인하고, 혈액형과 교차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2. 혈액형 검사를 받았던 환자는 네임카드에 혈액형이 나타나므로 재확인한다.
3. 환자에게 수혈의 목적, 방법,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혈액형이 표시된 아크릴 판을 수액걸이에 건다.
4. 혈액을 받으면 즉시 공기방울, 혼탁도, 색깔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한다.
5. 담당간호사와 동료간호사(의료인 2명)가 적합시험 보고서와 혈액백의 라벨에 기록된 환자의 이름, 진찰권번호, 혈액번호, 혈액형, 혈액형의 종류, 유효기간을 확인하고 라벨에 서명한다. 의무기록을 보고 이전에 검사한 혈액 형과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6. 환자의 체온, 맥박, 호흡을 측정한다. 수혈 전에 체온이 37.5℃ 이상이면 의사에게 보고한다.
7. 혈액을 주입하기 전에 담당간호사와 동료간호사(의료인 2명)가 환자 앞에 서 환자와 혈액형을 다시 확인한 후 라벨에 같이 서명한다. 무의식 환자인 경우 보호자에게 확인한다.
8. 포도당 용액을 주입하고 있으면 생리식염수로 바꾸고 수혈에 적절한 바늘 인지 확인한다(18G 이상). 혈액제제에는 아무 약도 첨가하지 않는다.
9. 혈액백의 출구에 수액세트를 꽂는다. Drip chamber의 여과막이 잠길 정도로 혈액을 채우고 수혈세트에 혈액이 차면 조절기를 잠근다.
10. 준비된 정맥주입 라인에 수혈 세트를 연결한 후 조절기를 열고 혈액을 주 입한다. 처음 15분 동안은 분당 15방울로 주입한다(수혈 시작 시간, 혈액 형, 혈액번호, 혈액종류와 활력징후를 기록하고 이상 증상에 대해 환자에게 설명한다.)
11. 대개의 부작용은 50~100cc의 혈액을 주입하는 동안에 발생한다. 수혈 속 도가 빠르면 급성신부전이나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노인, 심장질환 환자는 주입속도를 보다 천천히 한다.
12. 수혈 시작 15분 내에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이상이 없으면 주입 속도 내로 주입한다.
13. 혈액 주입 중에는 매 30분마다 오심, 구토, 피부 발적, 오한, 발열 등의 부 작용이 있는지 관찰한다. 부작용이 있으면 수혈을 중지하고 보고한다.
14. 수혈이 끝나면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생리식염수로 flushing 한 후 다른 수액으로 바꾸거나 바늘을 제거한 후 소독솜으로 주사 부위를 3분 이상 눌러준다.
15. 수혈 종료 후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16. 수혈이 끝나면 혈액백의 라벨에 끝난 시간을 기재하여 간호기록지에 붙이고 수혈 시의 이상증상 유무, 혈액주입 시의 활력징후를 의무기록에 기록한다.
3. 계수
1. 계수는 계수하는 품목에 대해 파악하여 환자 체내에 이물질이 남게 됨으로 발생할 수 있는 상해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2. 모든 수술에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집도의의 판단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3. 계수 시점은 1차 계수는 수술 시작 전(모든 계수가 완료되기 전에는 사 용을 금지한다), 2차 계수는 체강이나 수술 절개부위의 봉합 시작 전, 3 차 계수는 피부봉합 전이나 수술종료 전, 추가 계수는 수술 중 공급 시에 해당한다.
4. 계수 결과 기록은 계수 품목의 종류와 계수 확인 결과, 계수를 수행한 순회, 소독간호사의 이름, 계수 결과가 맞지 않았을 경우 취한 조치, 계 수를 실시하지 못한 경우, 생략한 경우와 사유 등을 기록한다.
4. 투약
1. 한 가지 약품일지라도, 순회간호사와 약물(이름, 약효, 복용량, 유통기한)을 말하고, 눈으로 보면서 확인한다.
2. 멸균영역에서 약품을 받은 즉시, 약품의 용기에 이름을 표기한다. 이름을 쓸 때는 집중하여 정확히 써야 한다.
3. 필요한 경우, 용기와 전달 도구에 약품의 이름과 약효, 농도 등의 최소한의 정보를 표기한다.
4. 약품을 수술팀에게 줄 때는 큰소리로 약품의 정보(이름, 약효, 복용량, 유 통기한)를 말하고, 눈으로 확인한다.
5. 라벨이 없는 멸균영역 안과 밖에서 발견되는 모든 약물은 즉시 폐기 한다. 바. 투약 기록은 정확한 약품 용액의 사용 기록은 수술 중 발생한 약품 관련 사고를 추적하는데 필수적이며 수술 중 기록은 수술 과정에서 사용되는 모든 약품(세척 용액, 1회 복용량, 투여경로를 포함한)을 포함한다.
5. 조직 표본 검체 관리
1. 혈액, 조직, 체액 등 모든 검체는 새지 않는 밀폐 용기에 넣어 처리하고
보관 이동 시 잠재적인 감염성 병원 미생물에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2. 의료인들은 검체물을 잠재적으로 감염된 물질로 다루어야 하며 보관용기의 외부 표면은 화학 살균제로 닦아야 한다.
3. 검사물은 조직의 특수한 형태, 배양, frozen section 등의 의뢰 규정을 알고 검사실에 의뢰한다.
4. 조직 검사물 라벨(환자명, 등록번호, 성별, 나이, 진료과, 병동, 부위, 채 취임 등)을 정확하게 기록하여 올바른 용기에 담아낸다.
5. 수술을 통한 신체 일부의 제거물이나 사산아를 위한 병원의 취급 방침이 있어야 하며 근무자는 규정을 준수한다.
6. 낙상예방
1. 환자가 대기하는 경우 이동침대(stretcher)의 side rail을 올려놓는다.
2. 수술침대로 환자를 옮기기 전 침대의 각 연결 부분의 조임이 튼튼하게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3. 수술 침대의 바퀴와 이동침대의 바퀴를 고정한 후, 양쪽에 의료진이 있는 상태에서 환자를 수술침대로 옮긴다.
4. 수술침대가 좁아 낙상의 위험이 있음을 환자에게 알려주고 마취 유도하는 동안 환자 곁을 지킨다.
5. 수술 침대로 옮긴 직후 억제대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필요 부위를 억제대로 고정한다. 억제대는 전박, 대퇴부와 같이 관절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적용한다.
6. 수술체위를 취한 후 필요한 부위에 억제대를 한다.
7. 수술이 끝난 후 환자가 마취에서 깨어나는 동안 환자 곁을 지킨다.